해당 글의 내용은 FASTCAMPUS의 네트워크 개론 강의를 수강 및 정리한 내용입니다.
데이터 링크 계층의 역할과 기능 |
1. 데이터 링크 계층이란? 역할> : OSI 7 Layer의 2계층으로 인접한 네트워크 노드끼리 데이터를 전송하는 기능과 절차를 제공 : 물리계층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류를 감지하고 수정 : 대표적인 프로토콜로 이더넷이 있으며 장비로는 스위치가 있음 구성> - 2개의 부 계층으로 구성 ① MAC(Media Access Control) : 물리적인 부분으로 매체간의 연결방식을 제어하고 1계층과 연결 ② LLC(Logical Link Control) : 논리적인 부분으로 Frame을 만들고 3계층과 연결 => 데이터 링크 계층은 LLC와 MAC으로 구성되어 있고 Frame 단위로 통신한다 => 상위 계층은 Packet 단위로 통신한다 - MAC 주소 : 확인방법) cmd > ipconfig/all 또는 네트워크 설정에서 확인 : 48bit로 6자리로 구성, 16진수로 표현 : 앞에 3자리는 OUI(제조사 식별 코드) : 나머지 3자리는 제조사 내 일련번호 2. 주요 기능 Framing, 회선제어, 흐름제어, 오류제어 등이 있다. ① Framing : 데이터그램을 캡슐화하여 프레임 단위로 만들고 헤더와 트레이러를 추가 * 헤더 : 목적지, 출발지 주소 그리고 데이터 내용을 정의 * 트레일러 : 비트 에러를 감지 ② 회선제어 : 신호간의 충돌이 발생하지 않도록 제어 - ENQ/ACK 방법 : 전용 전송 링크 1:1 * ENQ ) 데이터 전송에서 상대국의 응답을 구하는 전송제어 부호.* ACK ) 송신 측에 대하여 수신 측에서 긍정적 응답으로 보내지는 전송 제어용 캐릭터 * EOT ) end of transmission character 전송 종료 문자 - Polling 방법 (1: 多) : ENQ/ACK 방법과 다르게 다양한 PC들에게 동일한 패킷을 동시에 보낼 수 있다. > 2가지 모드 - Select 보드 : 송신자가 나머지 수신자들을 선택하여 전송 - Poll모드 : 수신자에게 데이터 수신 여부를 확인하여 응답을 확인하고 전송 - multipoint ③ 흐름제어 : 송신자와 수신자의 데이터를 처리하는 속도 차이를 해결하기 위한 제어 : Feedback 방식의 Flow Control이며 상위 계층은 Rate 기반 - STOP & WAIT BUT!
- GO BACK N ARQ - Selective Repeat ARQ Ethernet v2 : 데이터 링크 계층에서 MAC 통신과 프로토콜의 형식을 정의 |
스위치와 ARP | 1. L2 스위치 ① 스위치 : 2계층의 대표적인 장비로 MAC주소 기반 통신 : 허브의 단점을 보완 - Half Duplex => Full duplex - 1 Collision Domain -> 포트별 Collision Domain * 라우팅 기능이 있는 스위치 = L3 스위치라고 부른다 동작방식> 목적지 주소를 MAC 주소 테이블에서 확인하여 연결된 포트로 프레임 전달 1) Learning : 출발지 주소가 MAC 주소 테이블에 없으면 해당 주소를 저장 - 4개의 PC는 스위치의 각 포트에 연결되고 프레임이 스위치에 전달 : 목적지 주소가 MAC 주소 테이블에 없으면 전체 포트로 전달 - PC1은 목적지가 aa:bb:cc:dd:ee:05 주소로 프레임 전달 : 목적지 주소가 MAC 주소 테이블에 있으면 해당 포트로 전달 - pc1은 목적지 aa:bb:cc:dd:ee:05 주소로 프레임 전달 - 스위치는 해당 주소가 MAC Table에 존재하므로 해당 프레임을 pc5로 전달 - 4) Filtering - Collision Domain : 출발지와 목적지가 같은 네트워크 영역이면 다른 네트워크로 전달하지 않음 : Collision Domian을 나누는 것 : 효율적 통신이 가능 - pc1은 목적지 aa:bb:cc:dd:ee:02 주소로 프레임 전달 - 스위치는 해당 주소가 동일 네트워크 영역임을 확인하여 다른 포트로 전달하지 않음 5) Aging : Mac 주소 테이블의 각 주소는 일정 시간 이후에 삭제 : 스위치의 MAC 주소 테이블은 시간이 지나면 삭제 삭제 이유> (1) 저장 공간의 효율적 사용 (2) 해당 포트에 연결된 PC가 다른 포트로 옮겨진 경우도 발생 - 기본 300초 저장 다시 프레임이 발생되면 다시 카운트 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 (정리) 2. ARP 역할> Address Resolution Protocol : IP주소를 통해서 MAC 주소를 알려주는 프로토콜 : 컴퓨터 A가 컴퓨터 B에게 IP 통신을 시도하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 목적지 MAC 주소를 알아야 한다 : 목적지 IP에 해당되는 MAC 주소를 알려주는 역할 동작과정> * CMD 창에 arp -a로 ARP Cache Table 실행 |
스패닝트리 프로토콜과 루핑 |
1. Looping 정의> : 같은 네트워크 대역 대에서 스위치에 연결된 경로가 2개 이상인 경우 발생 : PC가 브로드캐스팅 패킷을 스위치들에게 전달하고 전달 받은 스위치들은 Flooding함 : 스위치들끼리 Flooding된 프레임이 서로 계속 전달되어 네트워크에 문제를 일으킴 구조> 이러한 문제점이 발생하는 것이 Looping이다 STP(Spanning Tree Protocol) : 스패팅 트리 프로토콜 : 자동으로 트리 알고리즘에 사용되는 프로토콜 -> STP : Looping의 문제점을 해결 : IEEE 802.1d에 명시됨 1) Bridge ID : 스위치의 우선순위 : 0~65535로 설정됨 : 낮을수록 우선순위가 높음 2) Path Cost : 링크의 속도 : 1000/링크 속도로 계산 -> 작을수록 우선순위가 높다 : but 1Gbps속도가 나오면서 계산법이 적합하지 않게됨 -> IEEE에서 각 대역폭 별 숫자를 정의 요소> - BPDU(Bridge Protocol Data Unit) : 스패닝 트리 프로토콜에 의해 스위치간 서로 주고받는 제어 프레임 1) Configuration BPDU (구성 BPDU) : 루트 브리지에 의해 생성 포함된 주요 정보↓ 2) TCN(Topology Change Notification) BPDU (구성변화 BPDU) * 루트 포트 계산 다시 공부하기 상태변화> : 스위치의 포트는 스패닝 트리 프로토콜 안에서 5가지 상태로 표현됨 1) Disabled : shut down된 상태 : 데이터 전송 불가, MAC 학습 불가, BPDU 송수신 불가 2) Blocking : 부팅하거나 DIsabled상태를 up했을 때 첫번째 거치는 단계 : BPDU만 송수신 3) Listening - 15초 : Blocking 포트가 루트 또는 데지그네이티드 포트로 선정되는 단계 : BPDU만 송수신 4) Learnign - 15초 : 리스닝 상태에서 특정 시간이 흐른 후 러닝 상태가 됨 : MAC학습 시작, BPDU만 송수신 5) Forwarding : 러닝 상태에서 특정 시간이 흐른 후 포워딩 상태가 됨 : 데이터 전송 시작, BPDU 송수신 3. RSTP & MST RSTP (Rapid Spanning Tree Protocol) : 빠른 STP이당 : STP는 포워딩 상태까지 30~50초 걸림 BUT RSTP는 이 컨버전스 타임을 1-2초 내외로 단축 : Learning & Listening 단계가 없음 MSP( Multiple Spanning Tree) : 네트워크 그룹이 많아지면 STP or RSTP BPDU 프레임이 많아지고 스위치 부하 발생 : 여러 개의 STP 그룹들을 묶어서 효율적으로 관리 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 |
VLAN | 1. VLAN VLAN(Virtual Local Area Network) : 물리적 구성이 아닌 논리적인 가상의 LAN을 구성하는 기술 : 불필요한 데이터 차단 ~ 브로드캐스트 도메인 별로 나누어 관리 장점) 관리의 용이성과 보안 -> 호스트의 물리적 이동 없이 LAN 그룹 변경이 가능 비용의 절감 -> LAN 추가시 물리적 스위치 구매 필요 없음 종류) ① Port 기반 VLAN : 여러개의 VLAN을 설정하고 각각의 LAN에 물리적인 포트를 지정 : VLAN 변경이 필요한 호스트는 물리적인 포트 또는 스위치의 VLAN 설정을 변경 ② MAC주소 기반 VLAN : 각 호스트 또는 네트워크 장비의 MAC주소를 각각의 VALN에 정의 : 호스트가 이동되어도 VLAN 변경 필요 X, 신규 호스트 연결시 설정 변경 필요 ③ IP주소 기반 VLAN : IP주소 서브넷 기반으로 VLAN을 나누는 방법 - IP(Internet Protocol) : 3계층에서 사용하는 프로토콜 - 서브넷 : IP주소의 네트워크 영역의 크기를 나눈 것 2. Trunk 정의> 물리적 스위치간 VLAN연결 시 하나의 물리적 연결로 VLAN그룹들 공유 - 트렁크 프로토콜 : 이더넷 프레임에 식별용 VLAN ID를 삽입하여 데이터를 구분하여 통신 및 제어 가능 : 802.1q를 따름 VLAN Tagging : VLAN ID 정보 (tag를 다 달아놓음) 3. VLAN 구성 VLAN 설계> ① VLAN 그룹 정의 ② VLAN 구성방법 정의 : 포트, MAC주소, IP주소 : MAC 또는 IP주소 방식의 경우 미리 사전 조사 필요 ③ 트렁크 포트 정의 : 대역폭 확인 : 허가(Tagged)할 프레임 정의. 정의되지 않은 Tag는 통신 불가 VLAN 설정> 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 |
출처
네이버 백과(ENQ , ACK, EOT )
정보통신 기술용어 해석 http://www.ktword.co.kr/abbr_view.php?m_temp1=2403
'개발 > 보안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방화벽과 웹 방화벽 (0) | 2021.01.07 |
---|---|
네트워크 보안 개념 (0) | 2021.01.07 |
[FastCampus] 네트워크 개론_물리계층 (0) | 2020.12.31 |
[FastCampus] 네트워크 개론_네트워크 소개 (0) | 2020.12.31 |
[개인정보보호 포털] (신)개인정보보호법 이해하기 (4강) (2) | 2020.12.30 |